KT Aivle 스쿨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딩마스터스 종료 (2.13 ~ 3.10) 드디어 스트레스 만땅이였던 1차 코딩마스터스가 종료되었다.. 결과는 99문제 전부 솔루션 완료!!! 사실.. 노력도 다른사람에게 부끄럽지않게 열심히 했지만.. 스터디원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아예 불가능했고 밑에 쳐박혔을 나라서 부끄럽다.. 3월 27일날 코마 기반으로 공부한 내용을 테스트 한다고하니까.. 열심히 준비해봐야지! + 이력서에 작성할 내용 늘어서 기분 좋다^^; KT AIVLE SCHOOL 6주차 AI모델 해석/평가 (3.9 ~ 3.10) 사실 ... 이번 이틀동안 한 강의는.... 소신 발언하자면 코딩마스터스의 마감일이 코앞이라 큰 집중을 못했다.... 코딩마스터스 문제푸는데 눈이 돌아가버려서 강의 듣는둥 마는둥하면서 진짜 밤샘 코마를 했었던 것 같다.. 코마 얘기는 다음으로 미루고 강의 얘기를 해보자면 쉬어가는 코너로 알면 좋고! 몰라도 된다! 사실 모델 해석부분은 학부생때 들었던 강의에서 많이 배웠었고...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하면서도 많이 들었다. 그래서 대충 들어도 이해했던 강의였던 것 같다.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자면 모델 해석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몇개를 소개하자면 1. Feature Importance 2. Partial Dependence Plot(PDP) 3. Permutation Feature Importanc.. KT AIVLE SCHOOL 6주차 2차 미니프로젝트 (3.6 ~ 3.8) 이 날은 본가에서 미니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 환경이 바뀌니까 더 집중이 잘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드디어 경쟁하는 미니프로젝트 시작.... 주제는 악성사이트인지 아닌지를 데이터를 얻어와 학습시켜서 구분하는것인데! 악성사이트면 모델이 악성사이트 여부를 정상 : benign, 악성 : malicious 로 표기해야한다. 캐글을 이용해서 예측한 모델이 다른사람에 비해 얼마나 정확도가 높은지 경쟁했었는데.. 나는 죽어라 해도 0.91이상 나오지 않았는데 다른사람들은 0.96~0.97 나오는 것 보고 많이 좌절했었다.. 사실 스터디원 없었으면 0.91도 무리였는데... 참 대단한 사람들이 많다.... 이번 미니프로젝트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 알파이자 오메가였는데 특히 결측치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정.. KT AIVLE SCHOOL 5주차 딥러닝 (2.27 ~ 3.3) 꿀맛같은 3.1 휴식이 있어서 좋았던 날.... 그러나 딥러닝의 벽은 여전히 높았다 ㅠ 텐서플로우를 설명을 많이 해주셨던 한 주였다. 간단하게 배운 코드를 말하자면 keras.backend.clear_session() model = keras.models.Sequential() model.add( keras.layers.Input(shape = (?,))) model.add(keras.layers.Dense(?)) model.compile(loss = '?', optimizer = '?') 이런 느낌이였는데 사실 이건 Sequential 방식으로 쌓은 딥러닝 코드고 기존 성능은 Functional 방식으로 쌓는게 더 효율이 좋다고 한다! 그리고 히든레이어의 중요성도 많은 설명을 들었었는데 히든레이어를 이.. KT AIVLE SCHOOL 4주차 머신러닝 (2.20 ~ 2.24)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이 많이 드는 머신러닝 강의가 시작되었다!! 사실 머신러닝, 딥러닝에 대한 두려움이 어느정도 있었던 편인데 다행스럽게도 강의를 잘 따라가니까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것 같아서 다행이였다! 주말에도 복습을 해야할거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던게 문제지 ㅠㅠ 강사님께서 머신러닝은 단단한 지반을 쌓는 과정이라고 하셨던 것 같은데.... 저는 흐리멍텅한 기반인거 같아요 ㅠㅠㅠㅠㅠ 어떡하죠??? 배운 내용 비지도학습 ■ 변환 ■ 군집화 ■ 연관 지도학습 ■ 회귀 ■ 분류 강화학습 머신러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모델 학습 -> 모델 평가로 이루어진다. ★ 좋은 모델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언제나 하나를 선택하고 집중해야한다! ★ 무조건 많이 쌓는다고 좋은 모델이 아니.. KT AIVLE SCHOOL 3주차 웹크롤링 (2.16 ~ 2.17) 미니프로젝트를 무사히(?) 마치고 다시 본래 강의가 시작했다. 사실 이번에 배울 웹크롤링 자체는 졸업프로젝트나 학부생일때 많이 해보기도 하고 공부도 했어서 따라가는게 그다지 큰 걱정은 안했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까 열심히 강의 들었던 것 같다. 웹 크롤링 웹 페이지를 가져와서 데이터를 크롤링(추출)하는 행위 예전에 네이버 스포츠등에서 Flutter를 활용해 경기 일정을 자동으로 갱신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본 전적이 있는지라 바로 바로 이해 했던것 같다. 그전에 했을때는 구글링으로 내 필요한것만 찾기 급급한 정도로 배웠다면 이제는 request에 실패했을때 Error 코드나 해결 하는 방법등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내가 무엇이 안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다. HTML 태그 또한 배웠는데 기존에 자주 쓰.. KT AIVLE SCHOOL 3주차 미니프로젝트 (2.13 ~ 2.15) 미니 프로젝트 주간이 드디어 왔다!! 사실 그 전에 했던 내용들을 따라가기 급급해서 내가 조원들에게 민폐 끼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지만 민폐 끼치면 어떤가?! 열심히만 하면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했던것 같다. 서울시 대중교통(버스) 데이터를 가져와서 어느 구에 정류장과 노선등을 충족시켜야하는가? 사실 데이터를 잘 다루지 못해서 많은 걱정을 했으나..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더니.. 생각보다 괜찮은 결과물이 나와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우리꺼 생각보다 괜찮은데???????? 라고 생각했는데 PPT 발표를 보니까 살짝 기죽었다.. 왤케 잘하는 사람이 많은거야???????? 앞으로 나도 좀 더 잘해져야겠다.. KT AIVLE SCHOOL 2주차 후기 (2.6 ~ 2.10) ### Day 4 (23년 2월 6일): 4 일차 - Python 라이브러리 numpy와 pandas를 이용하는데 중심을 둔 날이였던 것 같다 특히 앞으로 계속 나올 데이터프레임을 다루는데 익숙해지기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원래 전주에는 pycharm을 자주 썼는데 이제는 jupyter lab을 자주 사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데이터 프레임을 다루는데 되게 쉽게 다룰 수 있어서 애용할 것 같다..! Day 5~6 (23년 2월 7일 ~ 8일): 5 ~ 6 일차 - 데이터 처리 사실 4일차와 구분 지을 필요는 없을정도로 비슷한 내용을 배웠던 5 ~ 6일차였던 것 같다. 타이타닉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데이터 프레임의 행과 열을 추가하고 삭제하고, 값을 변경하고 새로 카테고리를 만드는 간단한 .. 이전 1 2 3 다음